뉴스레터 받기
알림 제품, 업데이트
12월 18, 2024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90% 이상이 체류 연장을 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추세는 한국이 장기 거주지로서 매력을 더해가고 있음을 보여주며,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을 영구적인 거주지로 삼기를 원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12월 10일, 서울 외곽 건설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AI 번역기를 통해 한국인 동료와 소통
12월 10일, 서울 외곽의 건설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인 동료와 AI 번역기를 통해 소통하는 모습이 포착되었습니다. 이 기술은 특히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산업에서 언어 장벽을 허물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국의 외국인 근로자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서며,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습니다. 이는 한국의 다양성이 증가하고 외국인들의 생활 수준이 꾸준히 향상된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번 보고서는 통계청과 출입국관리사무소가 공동으로 작성한 자료로, 한국에 거주하는 156만 명의 외국인 거주자를 대상으로 생활의 질과 체류 의향을 분석했습니다. 대상에는 임시 근로자, 고숙련 전문가, 학생, 재한 동포, 그리고 한국인 배우자들이 포함되었습니다.
누누티비에 따르면, 설문조사 결과 외국인의 90% 이상이 체류 연장을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응답자의 90.4%가 현재 체류 기간이 끝난 후에도 한국에 남기를 희망한다고 답했으며, 이는 2023년의 89.6%에서 소폭 상승한 수치입니다. 조사에는 영주권자나 귀화한 한국인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구체적으로, 응답자의 61.6%는 비자 연장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으며, 16.9%는 영주권 취득, 10.3%는 한국 국적 취득을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결과는 한국이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상황을 잘 보여줍니다. OECD에 따르면, 다문화 사회는 외국인이 전체 인구의 5%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로 정의됩니다. 현재 한국의 외국인 비율은 4.89%에 달하며, 2023년에는 이민자 증가율 50.9%를 기록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빠른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첫 번째는 영국으로, 52.9%의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한국에서의 생활 만족도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누누티비가 전한 바에 따르면, 이번 조사에서 외국인의 84.3%가 한국 생활에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2022년 80.4%에서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직장 만족도는 2022년 68.6%에서 2024년 72.6%로, 소득 만족도는 53.3%에서 58.2%로 증가했습니다. 주거 만족도 역시 79.2%에서 84%로 상승하며 전반적인 생활 질의 향상을 보여줍니다.
한국의 외국인 근로자 수는 올해 100만 명을 돌파하며 전년 대비 약 8만 7천 명(0.2%) 증가했습니다. 이 중 95만 6천 명이 임금 근로자로, 대부분이 중소기업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1.2%)은 월 200만 원에서 300만 원 사이의 급여를 받고 있으며, 이는 2023년 50.6%에서 증가한 수치입니다. 월 300만 원 이상의 급여를 받는 비율도 2022년 35.8%에서 37.1%로 늘어나, 외국인 근로자들의 경제적 여건이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외국인 근로자들은 여전히 여러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설문에 따르면, 외국인의 34.7%는 “특별한 어려움이 없다”고 답했으나, 29.8%는 언어 장벽, 13%는 외로움을 문제로 꼽았습니다. 또한, 외국인의 17.4%가 차별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이 중 출신 국가로 인한 차별이 54.5%, 언어로 인한 차별이 31.2%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차별을 경험한 외국인 중 단 15.3%만이 이를 공개적으로 문제 제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 근로자 중 18세 이하 자녀를 둔 응답자의 35.7%는 자녀 교육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으며, 특히 숙제 도움과 학업 지원에 가장 큰 문제를 느꼈습니다. 또한, 외국인의 절반 이상은 자녀 교육비가 큰 부담이라고 응답했으며,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장애물로 언어(44.7%)와 종교(11.8%)를 꼽았습니다.
누누티비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한국이 외국인들에게 매력적인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개선해야 할 과제들도 명확히 드러났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러한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언어 교육 지원, 차별 해소 정책 강화, 그리고 외국인 근로자와 그 가족을 위한 포괄적인 복지 정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한국이 다문화 사회로서 더 큰 성장을 이루기 위해, 외국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이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노력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관련 주제: LG Innotek, 차량 내부 안전 혁신: 누누티비 보도, 고성능 차량 내부 카메라 모듈 개발